Home 파이썬 가상 환경 사용하기
Post
Cancel

파이썬 가상 환경 사용하기

파이썬 가상 환경 사용하기

가상 환경(virtual environment)을 사용하는 이유

하나의 PC에서 프로젝트별로 내가 원하는 환경(파이썬 버전, 라이브러리 버전 등)을 구축하기 위해서이다.
가상 환경을 이용하면 버전 충돌도 예방할 수 있고, 패키지의 구성도 관리할 수 있다.

가상 환경 설정하기

다양한 명령어들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용하는데 있어 필요한 명령어들만 정리했다.

1. venv

venv는 파이썬 기본 모듈이며, 가상 환경을 구성할 폴더 안에서 생성해주면 된다.

생성

1
2
3
$ cd <프로젝트 경로>
$ python -m venv [가상환경 이름]
$ cd [가상환경 이름]

venv 관례적으로 가상환경 이름은 .venv를 쓰는듯 한다.

활성화

| 플랫폼 | 셸 | 명령어 | | — | — | — | | POSIX | bash/zsh | source [가상환경 이름]/bin/activate | | - | fish | source [가상환경 이름]/bin/activate.fish | | - | csh/tcsh | source [가상환경 이름]/bin/activate.csh | | - | PowerShell Core | [가상환경 이름]/bin/Activate.ps1 | | Window | cmd | [가상환경 이름]\Scripts\activate.bat | | - | PowerShell | [가상환경 이름]\Scripts\Activate.ps1|

비활성화

1
deactivate

삭제

삭제 명령어는 따로 없고, 생성된 폴더를 삭제해주면 된다.

2. conda

개인적으로 venv보다는 선호하는 방식이다.

생성

1
conda create -n [가상환경 이름] python=버전

python=버전을 생략하면 가장 최신 버전으로 생성된다.
예를들어, conda create -n [가상환경 이름] python=3.7이라고하면,
3.7 중의 가장 최신인 3.7.13으로 설치가 된다.

환경 확인

1
2
conda info --env
conda env list

위 두가지 방식으로 현재 가상 환경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둘 중 무엇을 쓰던 상관없다.

활성화

1
conda activate [가상환경 이름]

비활성화

1
conda deactivate [가상환경 이름]

삭제

1
conda remove -n [가상환경 이름] --all

유용한 관련 명령어

1
pip freeze > requirements.txt

위 명령어는, 해당 가상 환경에 설치되어있는 라이브러리들 requirements.txt에 저장해준다.

1
2
pip install -r 파일이름.txt
pip uninstall -r 파일이름.txt

위 두 명령어는, 파일이름.txt를 기반으로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거나 삭제한다.

여담

1. 쉘(shell)과 프롬포트(prompt)

쉘은, 운영체제의 커널과 사용자 사이의 다리 역할을하며, 사용자가 내린 명령을 해석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종류로는 bash, C, tsch, zsh 등이 있다.

프롬포트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화면에 나타내고 있는 신호다.

명령어를 입력할 때는 을 이용하자.

2. pip, conda, homebrew

파이썬 패키지를 설치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패키지 설치 도구들이다.
새로 생성한 가상 환경에 라이브러리를 설치할 때, 무엇을 쓰던 상관없다.

정확한 비유인지는 모르겠지만, 중고나라와 당근마켓이 모두 물건을 사고 팔 수 있는 플랫폼이지만 운영자는 다르다.
마찬가지로, pip, conda, homebrew 모두 라이브러리를 설치할 수 있지만 운영자는 다른 셈이다. 개인적으로는 pip를 선호하는 편.

3. CLI가 어렵다면 GUI로..

개인적으로는 CLI를 선호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GUI를 사용하고 있다.
사실 가상 환경 설정의 경우, CLI에서는 복잡하지만, GUI에서는 굉장히 직관적인 편이다.

vs code를 사용하는 경우, python envirment management 확장 기능을 이용해 가상 환경을 생성/사용/삭제가 편리하고,
Anaconda Navigation을 이용해서도 가상 환경 관리가 편한 편이다.
CLI가 익숙하지 않다면 GUI를 사용하는걸 추천한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메모리 부담 줄이기

멋쟁이 사자처럼 AI Shcool 6주차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