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PRism
Cancel

23년 ~4월 1주차 주간 회고

할일도, 할것도 너무 많고 캡스톤때문에 너무 바빴다. 약 2주간의 주간회고를 몰아서 작성. 1. RythmStudy DSP 강의가 끝나고 DeepLearningForAudio를 시작했다. 텐서플로우보다는 토치가 좀 더 사용할 일이 많을꺼 같아, 해당 스터디 초반부에 토치를 공부했지만 해당 강의에서는 텐서플로를 쓴다… 그리고 그냥 기본적인 딥러닝 개념...

[DSP] Section 5: 이산 푸리에 변환, 스펙토그램, STFT

[DSP] Section 5 [Ref | AudioSignalProcessingForML] 13.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Digitalization Digital signal $g(t) \rightarrow x(n)$ $t=nT$ Building a discrete Fourier transform $\...

[DSP] Section 4: 푸리에 변환

[DSP] Section 4 [REF | AudioSignalProcessingForML] 10. Fourier Transform: The Intuition Intuition Decompose a complex sound into its frequency components Compare signal with sinusoids of vari...

[DSP] Section 3: 오디오 데이터 특징

[DSP] Section 3 [REF | AudioSignalProcessingForML] 7. Time-domain audio features Time-domain features Amplitude envelope (AE) Root-Mean-Square energy (RMS) Zero-crossing rate (ZCR) … Amp...

[SP] Linux File

2강-1. 파일 개요 & 기본 명령어 File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된 연관된 정보들의 집합 보조 기억 장치 할당의 최소 단위 Sequnce of bytes (물리적 정의) File operations Create, Write, Read, Reposition, Delete...

23년 3월 3주차 주간 회고

1. DSP 학부에서 들었던 DSP는 너무 개념 위주라서 이해하기 힘들었는데, 확실히 예제를 갖고 실습을하면서 이론을 공부하니 조금 더 이해하기 편해진거 같다. 원어로 공부하다보니 추가적으로 공부해야할 부분들이 있지만, 실습으로 전반적인 개념을 잡고 이전에 공부했던 책을 다시 공부하면 더 도움이 될꺼 같다. 2. Selenium 기존에 웹 페이지에 ...

23년 3월 2주차 주간 회고

1. 캡스톤 졸업 프로젝트로 계획서를 작성했는데, 참여 기업 과제 중에 이거다하는 것들이 몇가지가 있었다. 먼저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과제들 위주로 계획서를 작성하고 지원했는데, 차주에 매칭되는 결과를 봐야 될 꺼 같다. 2. NLP 이전에 이미지/영상 처리 위주로만 하다보니 시퀀스 데이터를 다루는 NLP는 잘 몰랐는데, 앞으로 해당 분야를 사용할 ...

[SP] 시스템 프로그래밍 개요와 Makefile

시스템 프로그래밍 개요와 Makefile 1강-1. 시스템 프로그래밍 개요 System Programming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프로그래밍 활동 다른 소프트웨어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프로그래밍 활동 유닉스 시스템 프로그래밍은 유닉스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호출을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 시스템 호출은 유...

23년 3월 1주차 주간 회고

1. DSP 학부에서 DSP를 이론으로만 배워서 실습이 있으면 좋을꺼 같다는 생각을 많이 했었는데, librosa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나름의 실습을 진행하면서 학습하니 조금 더 이해하기 편한거 같다. 다만 원어 강의라 강의를 다 듣고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번 더 정리를 해야 좋을꺼 같은데, 쉽사기 복습을 못하고 있다. librosa도 최신 버전...

[HTML/CSS] 단어/글자/줄 간격 조정하기

[HTML/CSS] 단어/글자/줄 간격 및 크기 조정하기 win32com으로 Outlook 제어시, 가독성있는 본문 작성을 위해 style 태그에 추가 지정해서 사용하면 좋을꺼 같아서 정리함. 크기 단위 | 단위 | 설명 | | :— | :— | | em | 지정 폰트의 대문자 M의 너비 기준 | | rem | HTML 문서의 root 요소인 &lt...